본문 바로가기

청청의 이야기103

신에게서 시선을 돌려야 할 때: <산 루이스 레이의 다리> 어떤 죽음은 설명될 수 없습니다. 아니, 설명할 수 있는 죽음은 거의 없습니다. 고령의 노인이 숙환으로 별세한다고 그의 죽음을 반듯하게 설명할 수 없습니다. 왜 지금인가, 어째서 오늘일까, 조금 더 계실 수는 없었나 하는 부질없는 물음이 뒤따라오기 때문입니다. 하물며 참사라는 이름의 죽음들은 더더욱 설명될 수 없고 설명을 요구할 수 없습니다. 4월 그날, 아이들은 왜 그 배에 올랐고, 배를 띄운 바다는 어째서 그 배를 삼켰는지, 아이들은 왜 부모 품으로 돌아올 수 없었는지, 우리는 설명할 수 없습니다. 평소와 같이 아침을 먹고 신발 끈을 묶고 현관문을 열고 일터로 나간 아버지, 어머니, 아들, 딸들이 어째서 같은 날 저녁, 아침에 열고 나간 문을 다시 열어 집으로 돌아오지 못했는지, 그들이 어째서 죽음으.. 2025. 5. 14.
다비다라는 여제자(행 9:36-43), 부활절 넷째 주 공동체의 덕목공동체의 건강함을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있다면, 그 공동체 안에서 가장 약한 사람, 가장 어린 사람, 가장 바깥에 있는 사람을 대하는 태도입니다. 가장 느리게 오는 사람을 넉넉히 기다릴 줄 안다면 그 공동체는 건강한 공동체입니다. 보폭을 맞출 수 없으면 따로 오든가 아예 오지 말라고 한다면 효율적인 공동체일 수는 있으나 건강한 공동체라고 보긴 어렵습니다. 한 사회, 나아가 국가의 건강함도 마찬가지입니다. 그 사회에서 가장 약한 사람들, 배제된 사람들, 바깥으로 내몰린 사람들을 어떻게 대하는지 보면 그 사회와 국가의 건강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세상은 국방력, 경제력, 무역수지, 종합주가지수 따위를 건강함의 척도로 여기지만, 믿음의 공동체는 그와 달라야 합니다. 뒤처진 사람을 기다릴 줄 알.. 2025. 5. 11.
2025년 5월 11일(부활절 넷째 주) 2025. 5. 10.
기쁨이 지니간 자리(요 21:1-9), 부활절 셋째 주 끝나지 않은 이야기장편 소설의 마지막 장을 에필로그라고 합니다. 영화에서도 전체 서사가 마무리된 후 마지막 시퀀스를 통해 에필로그의 효과를 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작은 종결을 의미하는 에필로그에는 의외로 중요한 메시지가 담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작가의 의도나 메시지, 작중 인물들의 후일담, 혹은 다음 작품과의 연관성 등이 에필로그에 담깁니다.오늘 우리가 함께 읽은 복음서, 요한복음 21장이 정확히 에필로그에 해당합니다. 요한복음의 모든 서사는 20장에서 사실상 마무리되었습니다. 우리는 지난 두 주간 이 이야기를 살폈지요. 주님이 부활하셨고, 무덤은 비어 있었습니다. 아무도 주님의 부활을 알아차리지 못했습니다. 애통한 마음으로 울고 있던 막달라 사람 마리아가 빈 무덤에서 주님을 만났습니다. 마찬가지로 모든.. 2025. 5.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