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36 나의 폐허에서(사 66:10-14) 옛 노래가 입가에 머물 때요즘은 복음성가나 CCM과 같은 찬양곡들을 그다지 즐겨듣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문득 알 수 없는 어떤 이유로 전에 알고 있던 노래가 입가에 머물 때가 있습니다. 가사도 온전하게 생각나지 않고, 곡의 제목도 가물가물하지만 한 두 마디의 음조나, 짧은 가사 한 대목이 반복되고 그렇게 며칠을 흥얼흥얼하는 경우 말입니다. 여러분들도 이런 일 있으시지요. 지난주 제가 그랬습니다. 자전거를 타고 교회로 오고 다시 집으로 가는 중에 아주 오래 전 들었던 노래의 한 부분이 제 입에서 튀어나왔고 그렇게 일주일 내내 그야말로 흥얼흥얼했습니다. 제 입에 머물며 한동안 자리를 잡고서 떠나지 않았던 노래의 가사는 "내가 쓰러진 그곳에서 주는 나를 강하게 하리, 나는 다시 일어나겠네 주는 결코 나를 포기.. 2025. 7. 7. 멍에를 불살라서(누가복음 9:51~62), 성령강림 후 3주 '감히?'오늘 우리가 함께 읽은 누가복음 본문은 "예수께서 하늘에 올라가실 날이 다 되었다."는 말로 시작합니다. 그러니까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으로 여정의 방향을 잡기로 마음먹으신 연유가 당신께서 하늘로 올라가실 날이 다 되었기 때문입니다. 하늘에 올라가실 날이 다 되었다는 말은 무엇입니까? 주님께서 죽을 날이 다 되었다는 뜻입니다. 그러니 주님의 예루살렘 여정은 곧 그의 죽음의 길, 고난의 길인 셈이지요. 그러나 주님은 이 길에서 한 치도 벗어남 없이 걸어가십니다. 주님은 먼저 사람들을 보내어 당신과 제자들 그리고 이들을 따르는 여러 사람들이 잠시 머물 수 있는 공간을 확인하도록 지시하십니다. 주님을 따르는 무리가 작지 않으니 아마도 이런 심부름을 보내신 것 아닌가 싶습니다. 지시를 받은 사람들은 예루살.. 2025. 6. 29. 의미라는 은총(눅 8:26-39) 이해할 수 없는 말을 만났을 때저는 주로 자전거를 타고 출퇴근합니다. 한강 잠수교 터널로 들어와서 녹사평 언덕을 넘은 후 전쟁기념관 앞, 요즘에는 용산 대통령실이라 부르는 그 길을 돌아 교회로 옵니다. 그 길 한 모퉁이에는 할머니 한 분이 거의 매일 자리를 지키고 계십니다. 한눈에 보아도 남루하고 왜소한 할머니는 당신 몸만 한 피켓을 들고 작은 확성기를 손에 쥐고 매일 무언가를 외칩니다. 제가 그 길을 지나는 날에 단 한 번도 이분을 뵙지 못한 적이 없으니 그야말로 눈이 오나 비가 오나 그 자리에서 무언가를 소리치고 계신 것이지요. 그 할머니가 전하는 이야기가 무엇인지 저는 잘 모릅니다. 매일 그 소리를 들었음에도 말입니다. 어느 날은 신호가 걸려 그 할머니 앞에 선 적이 있었습니다. 피켓에 쓰여있는 글.. 2025. 6. 22. 지금은 감당하지 못할지라도(요 16:12-15) 연중시기로이제 교회력은 일상 절기 혹은 연중시기(ordinary time)라 부르는 시간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우리 청년부는 지난해 12월부터 교회력의 흐름과 호흡을 따라 여기까지 왔습니다. 우리는 주님의 오심을 기다리는 대림절, 탄생을 기뻐하는 성탄절, 세상에 나오신 주님을 바라보는 주현절, 고난의 길을 함께 걷는 여정으로서의 사순절, 기쁨의 부활절 그리고 교회의 시작과 성령의 역사를 개시하는 성령강림절을 지나왔습니다. 이처럼 대림절에서 성령강림절로 이어지는 교회력의 처음 6개월은 예수님의 삶을 뒤따르는 절기입니다. 여러 말씀을 함께 읽고 살피며 주님의 삶에 관하여, 주님의 말씀에 관하여 그리고 주님께서 뜻하신 바에 대하여 우리는 서로 나누고 성찰했습니다. 이제 이 가르침을 마음에 새기고 남은 반년 동.. 2025. 6. 15. 이전 1 2 3 4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