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청청 말씀 나눔31

식탁의 평화가 깨질 때(요 12:1-8), 사순절 다섯째 주일 새 일의 시작우리는 지난 금요일부터 역사적인 순간순간을 통과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3일 그날 밤 이래로 오늘까지 우리는 매 순간 역사적 시간, 카이로스의 때를 지나고 있습니다. 오늘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너무 많이 싸우고 갈등했습니다. 불필요한 다툼이 벌어졌고, 폭력 사태가 아무렇지 않게 자행되기도 했습니다. 서로의 말은 거칠어졌고 내 편이 아니면 적으로 간주했고, 적으로 삼은 이는 곧바로 악이 되어버렸습니다. 지금부터의 시간은 책임의 시간입니다. 우리 청년들의 몫이 작지 않습니다. 분열과 갈등을 만들어내는 파괴적인 메시지는 오늘도 울려 퍼질 것입니다. 우리는 사랑과 화해의 메시지로 저 어둠의 메시지를 삼켜버려야 합니다. 언젠가도 말씀드렸듯 세상의 악함이 우리의 의로움을 보증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 2025. 4. 6.
있지만 없는 사람들을 위하여(눅 15:1~3, 11b~32) 있지만 없는 사람들예수님 곁에는 언제나 죄인들, 세리들, 당대의 거리끼는 사람들로 가득했습니다. 주님은 멸시와 천대에 익숙한 사람들을 넉넉하게 받아들이셨고 그들과 먹고 이야기 나누시고 즐거워하길 마다치 않으셨습니다. 누가복음은 오늘 말씀을 시작하며 이른바 의롭다 일컫는 바리새파 사람들과 율법 학자들이 투덜거렸다고 말합니다. 죄인들과 가까이하는 저 예수라는 자가 무엇보다 싫었지만, 그들의 심사를 더욱 꼬이게 만든 것은 죄인들의 태도였습니다. 죄인들이란 자고로 자기 죄를 인정하고 부끄러움을 얼굴에 보이며 무엇보다 없는 듯 지내야 하는데, 어찌 된 영문인지 이들이 주님만 만나면 얼굴에 꽃이 피고 웃음이 가득하고 목소리를 높입니다.경건한 유대인들은 죄인들을 보거나 만지는 것만으로도 죄가 옮겨붙는다고 생각했습니다.. 2025. 3. 30.
실패한 신념의 사람들에게 (눅 13:1-5), 사순절 셋째 주일 신념이 된 분노예수님께서 활동하시던 1세기 갈릴리 사람들의 삶은 그야말로 녹록지 않았습니다. 정치적으로 헤롯 안티파스의 통치를 받고 있었습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듯 그는 명목상 유대의 왕이었으나 유대 전역을 다스렸던 그의 아버지 헤롯 대왕과 달리 유대 땅 가운데 4분의 1 규모의 갈릴리 지방만을 다스리는 왕이었습니다. 성경의 용어로는 분봉왕이라고 합니다. 그의 통치가 이처럼 제한적인 이유는 당시 유다는 로마 제국의 지배 아래에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는 유대의 왕이었으나 로마 황제의 신하였을 뿐입니다. 당연히 헤롯 안티파스는 로마의 눈치를 보아야 했고 로마의 각종 요구를 들어야 했습니다. 필연적으로 많은 세금을 징수했고, 강도 높은 강제 노동을 백성들에게 강제했습니다. 사람들의 삶은 갈수록 피폐해졌습니다.. 2025. 3. 23.
오늘도 내일도 그 다음 날도(눅 13:31-35), 사순절 둘째 주일 정론직필(正論直筆)언론의 정신과 철학을 말할 때 반드시 언급되는 표현이 '정론·직필'입니다. 말, 사실, 사태 등을 곡해하지 않고 바르고 정확히 쓴다는 뜻입니다. 정론직필은 언론의 사명이고 가치입니다. 기자를 비롯해 언론 기관에서 종사하는 분들은 예외 없이 정론직필의 마음과 자세로 일하리라 저는 믿고 싶습니다. 하지만 정론직필이 그렇게 간단하고 쉬운 일은 아닙니다. 시대와 장소를 막론하고 권력은 바르고 옳은 말을 하는 이들을 싫어했습니다. 서슬 퍼런 권력의 칼이 춤을 추던 군부독재 시절 언론은 기사 한 편 쓰기 위해 목숨을 걸어야 했습니다. 부패한 당대 권력을 정조준한 기사나 칼럼이 실리면 당시 정부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기자를 겁박하고 신문을 폐간시키기까지 했습니다. 정론을 직필하기 위해 목숨을 걸어야.. 2025. 3. 16.